목록볼륨 수정 (3)
오늘도 한 뼘 더

# 배경 EC2에 root 시스템에 공간이 없어 연결되어 있는 스토리지 볼륨을 늘려야 했다. 볼륨 크기를 늘리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 # 문제 sudo growpart /dev/nvme0n1 1 위 명령어를 통해서 볼륨 크기를 늘리려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failed [sfd_list:1] sfdisk --list --unit=S /dev/nvme0n1 # 원인 및 해결방법 EBS 볼륨 크기를 늘리기 위해서는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여유 공간이 없어 크기를 늘릴 때 에러가 난 것이다.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ebs-volume-size-increase/ Amazon EBS에서 ‘..

# 배경 EC2의 스토리지가 차서 볼륨을 수정하여 스토리지 용량을 키워야 한다. 이전에 진행했던 방법으로 수정을 하는 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2022.01.12 - [DevOps & Infra/AWS] - [AWS] EC2 볼륨 수정 [AWS] EC2 볼륨 수정 # 배경 jenkins에서 프로젝트 빌드/배포를 하다가 모든 배포가 에러가 나면서 진행이 되지 않았다. 확인해본 결과 공간이 부족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확인 # 문제 내용 jenkins docker를 올려놓은 EC2 인 baekji919.tistory.com # 에러 $ resize2fs /dev/nvme0n1p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

# 배경 jenkins에서 프로젝트 빌드/배포를 하다가 모든 배포가 에러가 나면서 진행이 되지 않았다. 확인해본 결과 공간이 부족하다는 에러 메시지를 확인 # 문제 내용 jenkins docker를 올려놓은 EC2 인스턴스의 볼륨 크기가 작아서 발생한 문제 jenkins에서 빌드 할 때 모듈을 다운로드하거나 하면 CPU를 많이 차지한다고 한다 # EC2 볼륨 수정 1. 해당 EC2의 볼륨 수정을 진행해서 크기를 수정한다. 2. EC2에 직접 접근하여 이 볼륨을 적용시켜줘야한다. 1) 해당 EC2에 접근 ssh ubuntu@{EC2 IP} 2) 어떤 파티션의 크기를 조정해야 하는지 확인 $ lsblk 3) Linux 파티션 크기 조정 $ sudo growpart /dev/nvme0n1 1 4) 파티션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