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S (10)
오늘도 한 뼘 더

# Crontab이란? Linux에서 일정 주기, 특정 시간에 맞춰 어떠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는 스케쥴러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Crontab이라고 한다. # Crontab 기본 명령어 # crontab 리스트 보기 $ crontab -l # crontab 작성 $ crontab -b # crontab 작업 모두 삭제 $ crontab -r # Crontab 작성 방법 * * * * * Crontab은 5개의 실행주기를 설정하여 작성한다. 차례대로 분 / 시 / 일 / 월 / 요일 이다. 분 : 0 - 59 시 : 0 - 23 일 : 1 - 31 월 : 1 - 12 요일 : 0 - 7 (0,7 = 일요일 / 1 = 월요일 ...) # 매분 실행 $ * * * * * /test.sh # 매일 10시..

# 문제 $ ssh ubuntu@{IP address} 항상 접속하던 대로 ssh키를 사용하려 접속하려 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 해결 방법 문제의 발생 원인은 접속하려는 IP주소로 기존에 접속한 기록과 현재 접속하려는 서버가 달라서 RSA키가 맞지 않아 생기는 문제라고 한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했다. host 컴퓨터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ssh/known_hosts를 업데이트해야한다. $ ssh-keygen -R {IP address}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가 되었다고 화면이 뜬다.

# 배경 Window에서 MySQL Workbench를 통해 Export 한 데이터를 Ubuntu 서버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송이 필요했다. # SCP(Secure Copy)를 사용한 OS간 파일 전송 ## SCP 옵션 -r : 폴더를 복사할 때 사용 -p : 원본파일의 권한 및 속성을 유지하여 복사 -P : 포트번호를 지정하여 복사 -c : 압축하여 복사 -v : 복사가 되는 과정을 출력한다. -a : 아카이브 모드로 복사 ## 단일 파일 복사 1. 로컬에서 원격으로 (Local -> Remote) $ scp [옵션] [파일명] [원격 id]@[원격 ip]:[받는 위치] ex) $ scp ./aaa.tar ubuntu@XXX.XXX.XXX.XXX:~/data_backup 2. 원격에서 로컬로 (Remot..

해당 글에서는 Ubtuntu 환경에서 Jenkins를 Docker Container로 올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Docker 설치 먼저 Docker Container로 올리기 위해 Docker부터 설치한다. 1. 처음 도커 설치를 하기 전에 apt를 업데이트한다. $ sudo apt-get update 2. docker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docker.io 3. docker 설치 유무 (버전 확인) $ sudo docker version $ sudo docker -v Jenkins 설치 1. Jenkins 이미지 확인 $ sudo docker search jenkins 2.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 sudo docker pull jenkins/jenkins:lts 3...

zeppelin 설치 및 사용 이유 제플린은 웹 기반 notebook이며 시각화 tool이다. 운영되는 데이터를 다른 부서에서 활용하기 위해 사용 zeppelin 노트북 데이터를 백업하기에 앞서 제플린의 구조를 익힌다. zeppelin을 설치하면서 zeppelin 노트북 데이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zeppelin 노트북 데이터를 백업하는 이유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용이하고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도와주는 제플린의 데이터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설치방법 1.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 zeppelin 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wget http://downloads.apache.org/zeppelin/zeppelin-0.8.2/zeppelin-0.8.2-bin-all.tgz 2...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이다. SSH키는 id_rsa.pub과 id_rsa로 나뉜다 id_rsa.pub : public key(client) id_rsa : private key(server) 위의 Private Key는 SSH로 접속하고자 하는 Client에 존재하게 되며, Public Key는 Server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SSH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keygen 명령어를 사용한다. SSH키 생성하기 [Ubuntu와 윈도우 모두 SSH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동일하다.] 1. ssh 폴더로 이동 $ cd ~/.ssh 2. keygen 명령어로 ssh 키 생성 $ ssh-keygen 3. 생성된 키 확인하기 SSH 키 등록하기 Server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client의 public..

Ⅱ. Server Install image 설치하기 https://releases.ubuntu.com/18.04.5/?_ga=2.15171838.972617121.1611559765-1334191541.1611559765releases.u buntu.com/bionic/ 접속하여 'ubuntu-18.04.5-live-server-amd64.iso'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Ubuntu 18.04.5 LTS (Bionic Beaver) Select an image Ubuntu is distributed on three types of images described below. Desktop image The desktop image allows you to try Ubuntu without changing y..

우분투를 설치하기에 앞서 디스크 이미지를 통해서 설치를 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컴퓨터와 같이 GUI형식으로 설치하는 Desktop image 2. CMD창과 같이 설치하는 Server Install image [다음 장에서 설명] Ⅰ. Desktop image 설치하기 https://releases.ubuntu.com/18.04.5/?_ga=2.15171838.972617121.1611559765-1334191541.1611559765releases.ubuntu.com/bionic/ 접속하여 'ubuntu-18.04.5-desktop-amd64.iso'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Ubuntu 18.04.5 LTS (Bionic Beaver) Select an image Ubuntu is di..

VirtualBox가 다 설치되고 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뜨게 된다. 이곳에서 Ubuntu 설치를 진행한다. 가상 머신 만들기 Ubuntu(우분투)를 설치하기에 앞서 우분투 OS가 돌아갈 수 있는 가상 머신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이름, 종류, 버전을 설정한다. 메모리 크기 : 2048MB (초기값 : 1024MB) 초기값은 1024MB(1GB)이나 필요에 따라 좀 더 큰 메모리의 크기가 필요할 수 있어 필자의 경우 2048MB(2GB)로 설정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유동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나 보통 GB의 단위로 끊어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하드 디스크 설정 이전에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가상 하드 디스크를..

1. VirtualBox 다운로드 .exe 다운로드하기 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Downloads – Oracle VM VirtualBox Download VirtualBox Here you will find links to VirtualBox binaries and its source code. VirtualBox binaries By downloading, you agree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license. If you're looking for the latest VirtualBox 6.0 packages, see Virt www.virtualbox.org 호스트 OS가 Window이기 때문에 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