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18)
오늘도 한 뼘 더

입사한 지 1년 그리고 개발자가 된 지 1년 2021년을 마무리하면서 신인 개발자로 일한 1년을 회고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 개발과의 만남 학교를 졸업할 때에는 개발자는 나의 길이 아니라고 생각을 했고 그렇게 취준생의 길로 접어들었지만, 공대생에게 기획자로서의 취업은 고난길이였고 설상가상으로 코로나가 터지면서 취업의 벽이 높아진 느낌이었다. 공대와 기획을 적절히 섞을 수 있는 무언가를 고민하던 중 데이터 분석 직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렇게 국비지원을 통해서 데이터 분석을 접하면서 코딩에 흥미를 느끼면서 개발의 길에 접어들었다. # 첫 입사 처음 입사를 했을 때에 당혹스러움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우리에게 노트북을 주시고 설치해!라고 했을 때 내가 지금 뭘 해야 하는 거지... 뭘 하길 바라시는 ..

AWS CloudFront란 무엇인가?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 Amazon CloudFront Amazon CloudFront란 무엇입니까? Amazon CloudFront는 .html, .css, .js 및 이미지 파일과 같은 정적 및 동적 웹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빨리 배포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CloudFront는 엣지 로케이션 docs.aws.amazon.com [AWS] S3 버킷 생성하기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는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보안..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Amazon S3란 무엇인가요?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Amazon S3)는 업계 최고의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보안 및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모든 규모와 업종의 고객은 Amazon S3를 사용하 docs.aws.amazon.com 따로 설정하지 않은 부분은 기본 설정 값을 따라 설정하였다. 일반구성 버킷 이름 > 기본적으로 버킷 이름은 어떻게 지어도 상관없지만 필자는 해당 버킷을 AWS CloudFront와 연결해서 사용을 할 것이였기 때문에 실제 사용할 도메인 이름으로 설정하였다. 예) application.myaws.org ..

AWS ElasticBeanstalk 이란?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beanstalk/latest/dg/Welcome.html AWS Elastic Beanstalk란 무엇입니까? - AWS Elastic Beanstalk AWS Elastic Beanstalk란 무엇입니까? Amazon Web Services(AWS)는 100개 이상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비스는 기능 영역을 나타냅니다. 다양한 서비스는 AWS 인프라 관리 방법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docs.aws.amazon.com AWS ElasticBeanstalk(이하 EB)는 자동으로 환경EC2/인스턴스)을 실행하고 코드 실행에 필요한 AWS 리소스를 생성 및 구성한다. EB를 사용하기..

localhost:8080 또는 지정한 도메인을 통해서 jenkins로 접근 1. Jenkins 보안 풀기 처음 Jenkins에 접속하며 jenkins 셋업을 위해 초기 설정되어있는 비밀번호로 보안을 풀어 줘야 한다. 세팅된 initialpassword로 보안을 풀어주는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docker log로 확인 $ sudo docker logs -f jenkins 2) 경로를 통해 확인 $ sudo 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2. 플러그인 설정 권장 플러그인 설정을 설치하는 방법과 직접 설치하고자 하는 플러그인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플러그인을 설치할 때 간혹 Fail이 뜨는 경우가 있는데 플러그인의 경우 이후에 별도로 ..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서 와디즈(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와 현재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플랫폼의 프로세스를 참고하였다. 명칭에 대해서는 이후 더 논의를 하기로 했다. 프로세스는 역할을 나누고 역할에 따른 프로세스를 정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1. 역할 (Role) - Member (물건을 사는 사람) - Retailer (물건을 파는 사람) - Admin (관리자) 2. 역할별 프로세스 1) Member Member는 회원가입, 로그인을 한다. 해당 프로세스는 Member DB에 저장, 조회를 하게 된다. 로그인 후 등록되어 있는 물건(물품)에 대한 펀딩을 신청한다. 펀딩이 실패되거나 취소되는 경우는 이후의 프로세스가 따로 없이 종료가 된다. 펀딩이 승인(성공)을 하게 되면 Memb..

해당 글에서는 Ubtuntu 환경에서 Jenkins를 Docker Container로 올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Docker 설치 먼저 Docker Container로 올리기 위해 Docker부터 설치한다. 1. 처음 도커 설치를 하기 전에 apt를 업데이트한다. $ sudo apt-get update 2. docker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docker.io 3. docker 설치 유무 (버전 확인) $ sudo docker version $ sudo docker -v Jenkins 설치 1. Jenkins 이미지 확인 $ sudo docker search jenkins 2.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 sudo docker pull jenkins/jenkins:lts 3...

개발을 직무로 생각을 해본적은 있지만 처음 개발자로서 생각해본 직무는 데이터 엔지니어링이었다. 그러다 운이 좋은 기회로 취업이 되었고 웹 개발이라는 직무에 마주하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웹 개발을 넘어서 인프라 영역으로 직무가 결정이 되어버렸고 인프라와 데브옵스 업무를 주로 맡다보니 웹 개발에서 조금은 멀어지게 되었다. 업무상으로 개발 비중이 줄어들다 보니 개발을 놓지 않기 위해서 할 수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다가 이전에 개발자 친구가 말해준 사이드 프로젝트가 생각났다. 친구와 저녁을 먹으면서 개발 지식과 공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서로 사이드 프로젝트에 대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을 알고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로 했다. 일단은 기존에 있는 웹페이지를 따라 만들어 보는것으로 시작해서 Backend, ..

제플린에서 interpreter 설정을 하기에 앞서 zeppelin에 연결하고자 하는 DB가 연결 가능 상태 여부인지를 먼저 확인한다. Network Layer Network 연결되었는지 여부 확인 zeppelin 서버에 접근하여 telnet 명령어로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 $ telnet {엔드포인드} 3306 연결이 되어있지 않다면 네트워크에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그룹을 수정해야 한다. 인바운드 규칙에 zeppelin을 설치한 서버를 추가해준다. (3306번 포트로 규칙을 추가해준다.) App Layer User로 접근이 가능한지 여부 확인하기 다음 명령어를 통해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mysql -h {엔드포인트} -u {username} -p 연결이 되지 않는 경..

인스턴스 생성 AWS에 접속하여 EC2를 검색하여 인스턴스 시작 클릭한다. 1. 서버 유형 선택 어떠한 서버를 생성할지 선택한다. 2.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한다 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유형에 따라 나뉘어 있고 t는 유형을 뒤에 숫자는 세대를 나타낸다. 3. 보안 그룹 구성 3, 4, 5 단계의 경우 선택한 인스턴스 유형에 따라 기본값이 설정이 되고 따로 값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패스! 필자의 경우 기본 값으로 설정을 진행하였다. 보안 그룹은 어떠한 ip주소를 접근 가능하게 할 것인지 설정해준다.(방화벽 기능) 처음에는 SSH 유형에 소스를 내 IP로 지정하였다. 4. 인스턴스 키 발급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면 인스턴스의 키가 발급된다. (다운로드하고 무조건 잘 보관하기!) cmd창에서 다음 명령..